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팜

[농가 우수사례] 우수상 자율비행 드론을 활용한 안전하고 정밀한 방제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쁘리스탈입니다.

요새 남부지방은 날씨가 왔다리 갔다리 하네요 맑았다가 비가 엄청왔다가 왜이러는지 모르겠네요?

코로나19도 힘든데 날씨까지 힘들게 만드는 날입니다. ^^

 

오늘은 농가 우수사례 우수상 자율비행 드론을 활용한 아전하고 정밀한 방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TK기술 기반 자율비행 방제 드론 시스템

농가 우수사례 부문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청년 농부 채영곤 님은 ‘RTX기술 기반 자율비행 방제 드론 시스템’으로 지역 농촌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했다. 농지 데이터를 측정해 자율비행 드론으로 방제를 하는 이 기술은 기존 드론 방제와 대비해 훨씬 넓은 면적을 방제할 수 있고, 빠르게 방제를 마칠 수 있다. 동시에 물과 농약제를 적게 사용해 환경에도 보탬이 된다. 이 기술이 널리 활용되면 약제 피해를 예방하고, 고령화된 농촌의 인력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인 소개를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전남 진도에서 3대째 가업을 이어 친환경으로 벼와 잡곡 농사를 짓고 있는 청년농부 채영곤입니다. 공모전에 참가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제가 현재 저희 지역의 친환경 재배 단지를 총괄하고 있는데, 지난 1년 동안 자율비행 방제 드론을 활용해 좋은 효과를 보았고, 더 많은 분들께 이 기술을 알리고 싶어서 공모전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우리 농업인들이 농업을 할 때 RTK기술 기반 자율주행 드론 방제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 각 이 있 었 는 데 이 렇 게 수 상 까 지 하 게 되 어 기쁩니다. RTK기술 기반 자율주행 드론을 활용해 방제하는 시스템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주세요. 제가 농사를 짓고 있는 전남 진도군은 월동을 하는 우렁이와 먹노린재, 혹명나방과 벼멸구 등의 병충해 피해가 심각한 지역입니다.

그런데 기존 수동 드론 방제를 이용하면, 농약을 과다 사용하게 되고 비산피해를 입는 등 크고 작은 안전사고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돼 RTK기술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정밀하게 측량한 지도 데이터를 통해 자율비행 드론으로 방제를 하는 것입니다. 일정한 고도와 속도, 분사량으로 중 복 방 제 를 막 아 농 약 사 용 을 줄 일 수 있 고 , 안전사고도 예방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보편적인 수동 드론 방제와 비교해 어떤 장점이 있나요?

일반적인 드론 방제는 조종자가 하루 10시간 이상 집중해 드론을 조종해야 하기 때문에 피로도가 높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커지는데요. 이 시스템은 미리 농지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해진 항로에 따라 방제를 하기 때문에 드론 조종자의 피로도가 낮습니다. 드론이 자율비행 방제를 하는 동안 조종자는 약을 보충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하는 등 다른 업무를 볼 수 있어 업무효율도 높죠. 일반 드론 방제의 경우 2인1조로 팀을 이루어 해야 하지만 자율주행 방제의 경우 1명만 있어도 효과적으로 방제가 가능합니다. 다음으로 정해진 항로, 고도, 속도, 분사폭 등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정밀 방제를 하기 때문에 모든 면적을 꼼꼼히 방제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약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중복 방제로 인한 약해 피해, 비산 피해 등도 미리 방지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방제 방식은 사람이 조종을 하기 때문에 중복 방제로 인한 약해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논의 끝단(조종자로부터 100m거리) 같은 경우 모든 면적에 약이 제대로 분사가 되지 않을 수도 있거든요. 다른 논에 비산피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자율비행 방제이기 때문에 시야의 제한을 받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드론은 사람의 눈으로 직접 보며 조종을 하기 때문에 날씨가 흐리거나 안개, 일몰의 경우에 비행에 제약이 있지만, 자율주행 방제는 이런 제약이 없고, 방제 적기에 많은 면적을 방제해야 하는 병해충 방제의 특성상 가장 효율이 높습니다.

 

이 시스템을 도입해서 거둔 효과가 궁금합니다.

현재 RTK 자율주행 방제드론(Jifei p30)을 운영하고 있는데, 자가면적 57ha, 진도 의신지역 친환경 공동방제 면적 152.6ha(6개 단지, 86농가)를 정밀하게 방제하여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기존 드론 방제 대비 작업능률이 15% 향상되었고, 약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또 농촌지역 고령화로 인한 인력부족 현상까지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기술을 경험한 지역 농민분들의 반응은 어떤가요?

저희 지역은 일반 드론으로 방제를 시작한 것도 비교적 최근의 일입니다. 그래서 올해 처음 자율 비행 방제 드론을 도입할 때, 기존 농업인분들의 걱정이 많으셨습니다. 조종기 없이도 드론이 잘 뜰 수 있을지, 방제가 제대로 될지 의심스러울 수밖에 없으니까요. 하지만 저는 지난 1년간 친환경지역 방제 팀장을 맡으면서 152.6ha의 면적을 단 한 번의 사고도 없이 무사히 방제했고, 효과도 좋았기 때문에 지역의 농가 어르신분들께서도 정말 고마워하셨습니다. 의심이 확신으로 바뀐 것이죠. 특히 기술이 이만큼 발전했다는 점에 놀라워하셨고, 우리 지역에 없었던 새로운 방식으로 방제를 하게 된 것에 대해서도 자랑스럽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믿음에 보답하고자 청년 농부의 사명감을 가지고 더욱 열심히 농업에 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계획이 궁금합니다.

현재의 RTK기반 방제 시스템에 기존 농기계에도 부착이 가능한 자동 조종장치를 부착해서, 트렉터나 이 앙 기 등 의 농 기계를 무인자동화시키는게 목표입니다. 또 농업사물인터넷 ( IoT ) 시스템을 활용하여 농업환경을 계측하고, 빅데이터와 연계해 데이터 농업도 실현시켜보고 싶습니다. 병해충을 조기에 감지해서 적기에 방제를 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하고 싶고요. 갈수록 인력이 줄어드는 농촌에서 고령의 농업인분들을 대신해 청년 농부로서 사명감을 갖고 모두 행복한 농업농촌을 만드는 게 저의 꿈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