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팜

정의 및 분야별 구성사례 - 스마트팜이란?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쁘리스탈입니다.

 

이번에는 스마트팜이 무엇인지? 그리고 분야별 구성사례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스마트팜의 정의, 의의, 운영원리 및 스마트팜 분야별 적용(온실, 과수, 축사)

그리고 스마트팜의 기대효과(생산성, 수출 확대, 일자리 창출등)에 대하여 공부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팜의 정의

비닐하우스·축사에 ICT를 접목하여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사육 환경을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이다.

 

스마트팜의 의의

작물 생육정보와 환경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육환경을 조성하여, 노동력·에너지·양분 등을 종전보다 덜 투입하고도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팜은 개인의 경험과 노하우보다는 데이터를 통한 통계분석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농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게 만든다.

 

스마트팜 운영원리

- 생육환경 유지관리 SW (온실·축사 내 온·습도, CO₂수준 등 생육조건 설정)

- 환경정보 모니터링 (온·습도, 일사량, CO₂, 생육환경 등 자동수집)

- 자동·원격 환경관리 (냉·난방기 구동, 창문 개폐, CO₂, 영양분·사료 공급 등)

 

스마트팜 분야별 적용

스마트 온실

PC 또는 모바일을 통해 온실의 온·습도, CO₂ 등을 모니터링하고 창문 개폐, 영양분 공급 등을 원격, 자동으로 제어하여 작물의 최적 생육환경을 유지·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 과수

PC 또는 모바일을 통해 온·습도, 기상상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으로 관수·병해충 관리 등이 가능하다.

 

스마트 축사

PC 또는 모바일을 통해 축사의 온·습도와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사료 및 물 공급 시기와 양 등을 원격·자동으로 제어한다.

 

스마트팜 기대 효과

 

① 생산성 향상

- ICT를 접목한 스마트팜이 보편적으로 확산되면 노동·에너지 등 투입 요소를 최적으로 사용하며 생산성 향상을 통해 우리 농업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고, 미래성장산업으로의 견인이 가능하다.

 

- 단순한 노동력 절감 차원을 넘어, 농작업의 시·공간적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워져 여유시간이 늘고, 삶의 질도 개선되어 우수 신규인력의 농촌 유입 가능성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② 수출 확대

③ 일자리 창출

- 생산 일자리 확대(스마트팜 경영자, 전문 재배사 등)

- 연관산업 직업 창출(시스템 개발자, 컨설턴트 등)

- 사회적 농업 가능 (장애인, 노인 등 사회적 약자 일자리 창출)

 

(사례)

장애인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국내 스마트팜 ‘P’사.

→ 스마트팜 2개동에서 15명의 발달 장애인 근무. 농업의 전문적인 부분을 스마트팜의 데이터와 기술로 보완하여 장애 인이 활약할 수 있는 근무환경 조성.

728x90
반응형